맨위로가기

글로부스 항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로부스 항공은 2007년 S7 항공의 자회사로 설립된 러시아의 전세기 항공사였다. 노보시비르스크에 기반을 두고 투폴레프 Tu-154M 기종으로 운항을 시작했으며, 이후 보잉 737 기종을 도입하여 국내선 및 일부 국제선 노선을 운항했다. 2019년 8월 S7 항공과의 합병이 발표되어 2019년 12월 초에 합병이 완료되면서 운항을 종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보시비르스크주의 기업 - S7 항공
    S7 항공은 1992년 시빌 항공으로 설립되어 모스크바에 본사를 둔 러시아의 주요 항공사로, IATA 코드 "S7"을 상표명으로 사용하며 원월드 항공 동맹에 가입, 러시아 국내선과 국제선을 운항하고 에어버스와 보잉 항공기를 주력으로 운영하고 있다.
  • 노보시비르스크주의 교통 - S7 항공
    S7 항공은 1992년 시빌 항공으로 설립되어 모스크바에 본사를 둔 러시아의 주요 항공사로, IATA 코드 "S7"을 상표명으로 사용하며 원월드 항공 동맹에 가입, 러시아 국내선과 국제선을 운항하고 에어버스와 보잉 항공기를 주력으로 운영하고 있다.
  • 노보시비르스크주의 교통 - 튀르키스탄-시베리아 철도
    튀르키스탄-시베리아 철도는 시베리아와 투르케스탄을 연결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1906년에 공사가 시작되어 1930년에 완공되었고, 소련 붕괴 이후 국제 철도 노선으로 기능한다.
  • 모스크바의 교통 - 아에로 익스프레스
    아에로 익스프레스는 2002년 모스크바에서 설립되어 주요 공항과 시내 역을 연결하는 러시아의 공항 철도 운영 회사로, 국제 항공철도 기구의 회원사로서 서비스 품질 향상을 추구한다.
  • 모스크바의 교통 - 시베리아 횡단 도로
    시베리아 횡단 도로는 러시아 주요 도시들을 잇는 광범위한 도로망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이어지며 일부 구간은 유럽 고속도로와 겹치고 카자흐스탄을 통과하기도 하는, 역사적으로 시베리아 횡단 철도 이전부터 존재했던 도로이다.
글로부스 항공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항공사글로부스 항공
현지명아비아콤파니야 "글로부스" (Авиакомпания «Глобус»)
영어명Globus Airlines
IATAGH
ICAOGLP
콜사인GLOBUS
창립일2007년 4월
운항 중단일2019년 12월
허브 공항도모데도보 국제공항
2차 허브 공항톨마초보 공항
중점 도시해당 없음
항공 동맹원월드 (제휴, 2010년-2019년)
상용 고객 우대 제도S7 Priority
VIP 라운지해당 없음
모기업S7 항공
슬로건해당 없음
본사모스크바, 러시아
핵심 인물해당 없음
웹사이트글로부스 항공
항공기
보유 항공기 수19
취항지
취항지 수해당 없음

2. 역사

2007년 S7 항공의 자회사로 설립된 글로부스 항공은 전세기 운항을 중심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투폴레프 Tu-154M 기종을 운항했으나, 2009년에 퇴역했다. 2008년 12월, 이스트라인 그룹이 S7 항공에 글로부스 항공을 매각하면서 사실상 S7 항공의 자회사가 되었다.[2]

2010년부터 글로부스 항공은 주로 러시아 국내선 정기 노선을 운항했지만, S7 항공과 협력 관계를 유지했다.[1] 2019년 8월, 항공사 대표는 S7 항공과 글로부스 항공의 합병을 발표했고, 2019년 12월에 합병이 완료되어 글로부스 항공의 운항은 종료되었다.[3] [4]

2. 1. 설립 초기

2007년 S7 항공의 자회사로 설립된 글로부스 항공은 전세기 운항을 중심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투폴레프 Tu-154M 기종을 운항했으나, 2009년에 퇴역했다. 2008년 12월, 이스트라인 그룹이 S7 항공에 글로부스 항공을 매각하면서 사실상 S7 항공의 자회사가 되었다.[2]

2008년 봄, 글로부스 항공은 노보시비르스크를 기반으로 하여 모회사인 S7 항공에서 사용하던 투폴레프 Tu-154M 기종으로 전세 항공편 운항을 시작했다. 운항 첫 해에는 S7 항공으로부터 또 다른 투폴레프 Tu-154M과 첫 번째 보잉 737-400 항공기를 이전받았고, 이후 중고 보잉 737-800 항공기를 추가 도입했다. 글로부스 항공은 휴양지로의 항공편 운항에 집중했다.[2]

2. 2. S7 항공 인수 및 성장

S7 항공2007년 글로부스 항공을 자회사이자 전세기 항공사로 설립했다. 2008년 12월, 이스트라인 그룹이 글로부스 항공을 S7 항공에 매각하면서 사실상 S7 항공의 자회사가 되었다.[2] 글로부스 항공은 2009년에 퇴역시킨 투폴레프 Tu-154M로 운항을 시작했다.

2008년 글로부스 항공은 모회사인 S7 항공에서 사용되던 투폴레프 Tu-154M을 이용해 운항을 시작했으며, 첫 번째 보잉 737-400 항공기를 S7 항공으로부터 이전받았다. 이후 중고 보잉 737-800 항공기가 추가되었다.[2]

2010년부터 글로부스 항공은 주로 러시아 국내선 정기 노선을 운항했지만, S7 항공과 협력 관계를 유지했다.[1]

2. 3. S7 항공으로의 합병

2019년 8월, 이 항공사의 대표는 S7 항공과 글로부스 항공의 합병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2019년 12월까지 합병이 완료되었으며, 글로부스 항공의 운항은 종료되었다.[3] [4]

3. 운항 노선

글로부스 항공은 S7 항공을 대신하여 국내선 및 일부 국제선 노선에 정기편 및 전세편을 운항했다.[1]

글로부스 항공에서 운용했던 투폴레프 Tu-154M


글로부스 항공에서 운용했던 보잉 737-400

3. 1. 아시아

글로부스 항공은 S7 항공을 대신하여 국내선 및 일부 국제선 노선에 정기편 및 전세편 운항을 했다.

; 아르메니아

  • 예레반 – 즈바르트노츠 국제공항 ''계절편''


; 키프로스

3. 1. 1. 동아시아

국가도시공항비고
中國|중국중국어베이징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香港|홍콩중국어홍콩홍콩 국제공항계절편
上海|상하이중국어상하이상하이 푸둥 국제공항계절편


3. 1. 2. 중앙아시아

국가도시공항비고
Кыргызстан|키르기스스탄ky오쉬오쉬 공항
Тоҷикистон|타지키스탄tg후잔트후잔트 공항계절편


3. 2. 유럽

글로부스 항공은 러시아를 포함한 유럽 지역에 취항했다.



; 러시아

국가도시공항비고
러시아아나파아나파 공항계절편
러시아바르나울바르나울 공항
러시아브라츠크브라츠크 공항
러시아치타카달라 공항
러시아고르노알타이스크고르노알타이스크 공항
러시아이르쿠츠크이르쿠츠크 국제공항집중 도시
러시아칼리닌그라드크라브로보 공항계절편
러시아케메로보케메로보 국제공항
러시아크라스노다르크라스노다르 국제공항
러시아크라스노야르스크크라스노야르스크 국제공항
러시아미네랄니예보디미네랄니예보디 공항
러시아모스크바모스크바 도모데도보 공항베이스
러시아니즈네바르토프스크니즈네바르토프스크 공항
러시아노릴스크알리켈 공항
러시아노보시비르스크톨마체보 공항베이스
러시아노비우렌고이노비 우렌고이 공항
러시아소치소치 국제공항
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풀코보 공항
러시아울란우데바이칼 국제공항
러시아블라디캅카스베슬란 공항


3. 2. 1. 러시아

3. 2. 2. 기타 유럽

; 크로아티아
; 아이슬란드
; 이탈리아
; 몬테네그로

  • 티바트 - 티바트 공항

; 스페인

  • 바르셀로나 - 바르셀로나 엘프라트 호세프 타라델라스 공항

4. 보유 기종

wikitext

글로부스 항공은 과거 보잉 737-400 6대와 투폴레프 Tu-154M 4대를 운용했었다.[8]

글로부스 항공의 퇴역 기종
기종댓수도입 년도퇴역 년도비고
보잉 737-40062009년2015년
투폴레프 Tu-154M42009년2010년최초 운용 기종


4. 1. 현재 보유 기종 (S7 항공 합병 이전)

2017년 10월 기준 글로부스 항공의 평균 기령은 21.7년이었다.[9][10] 2019년 10월 S7 항공으로 합병되기 전까지 글로부스 항공은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었다.[5]

글로부스 항공의 보유 기종 (S7 항공 합병 이전)
항공기운용 대수주문비즈니스석이코노미석총 좌석 수비고
보잉 737-8002181681761대는 원월드 도색[6]
보잉 737 MAX 82861681762018년 가을 인도 시작.
러시아 최초 도입.[7]
현재 운항 중단.
총계238



글로부스 항공이 운항했던 S7 항공 보잉 737-800

4. 2. 퇴역 기종

글로부스 항공은 과거 보잉 737-400 6대와 투폴레프 Tu-154M 4대를 운용했었다.[8]

글로부스 항공의 퇴역 기종
기종댓수도입 년도퇴역 년도비고
보잉 737-40062009년2015년
투폴레프 Tu-154M42009년2010년최초 운용 기종


참조

[1] 웹사이트 s7.ru – Our companies http://www.s7.ru/hom[...] 2015-11-29
[2] 웹사이트 S7 Charter начнёт эксплуатацию самолётов нового поколения Boeing 737-800 http://www.s7.ru/ru/[...] S7 Airlines 2010-11-17
[3] 뉴스 S7 Group объединит авиакомпании «Сибирь» и «Глобус» https://adindex.ru/n[...] 2019-08-26
[4] 웹사이트 ch-aviation.com - Globus Airlines https://www.ch-aviat[...] 2019-12-14
[5] 간행물 Global Airline Guide 2017 (Part Two)
[6] 웹사이트 S7 Airlines https://www.s7.ru/ab[...] 2016-09-29
[7] 뉴스 S7 Group станет первым российским покупателем лайнеров Boeing нового поколения https://www.vedomost[...] «Ведомости» (Vedomosti) 2016-09-21
[8] 웹사이트 Globus on ch-aviation http://www.ch-aviati[...] 2019-11-08
[9] 웹인용 Globus Fleet http://www.ch-aviati[...] 2012-03-23
[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planespot[...] 2012-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